그 많던 장어집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2012년부터 이어온 치어값 폭등으로 인한 민물장어 파동으로 인해 보양식으로 각광받던 장어가 서민들에게는 맛보기 힘든 음식이 되었습니다. 현재 민물장어 최근 산지 시세는 1kg(2마리)기준 4만원~4만5천원으로 2010년 1만8000원 대비 120% 이상 올랐습니다. 이로 인해 민물장어 전문음식점에서의 장어 판매가격도 고공행진하여 소비자들은 민물장어는 비싼 음식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면서 민물장어 전문식당들의 영업환경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에 위치한 장어 전문식당은 상황이 더욱 안 좋은데, 도심 외곽의 장어 전문식당보다 운영비가 많이 들다 보니 판매가격이 더 비쌀 수 밖에 없어 손님들의 발걸음이 뜸해 지면서 장어 판매량이 줄어들고 좋은 가격과 품질의 장어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일산에서 13년간 장어전문점을 운영해 오시던 J 민물장어전문점과 같은 여러 식당들이 현재 폐업이나 전업을 고민 중에 있다고 합니다.
위기에 처해 있는 장어식당은 어떻게 해야 경쟁력을 갖추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첫째는 무엇보다 공급과 판매가격의 경쟁력 확보입니다.
중간유통을 최소화하여 양만장으로부터 직공급을 받는다던지, 도매와 소매를 병행하면서 판매전략을 세운다던지, 장어 어종 중에서도 품질이 좋으면서도 공급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품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둘째, 브랜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장어식당은 간판 하나 달고 손님이 오기를 기다립니다. 인터넷기반의 소셜커뮤니티가 활성화된 요즘 아무리 간판을 크게하고 주변에 전단지를 뿌린다고 고객호응을 끌어내기 쉽지 않습니다. 그 식당에서 먹고나서 진솔한 후기가 인터넷상에서 퍼지면서 만족한다는 입소문이 나지 않으면 동네장사 이상으로 하기 어렵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인터넷상에서 맛과 품질이 검증된 장어를 사용해야 하고 당연히 가격과 서비스도 좋다는 평가를 받아 널리 입소문이 나야합니다.
셋째, 전문가의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장어식당 사장님들은 연세가 지긋하시면서 그동안 해왔던 방식과 생각을 버리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로 그 식당에 찾아오는 고객도 대부분 오래된 단골손님이지 새고객, 특히 젊은층의 고객을 확보하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장어식당도 변화무쌍한 최근의 트랜드를 따라서 단골손님은 물론 젊은층과 여성고객들도 많이 확보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존의 보양식의 이미지만 가지고는 오히려 더큰 확장을 못하고 우물안에 갇힐 수 있습니다.
양만장을 직접 운영하면서 유통은 물론100여개의 장어전문식당을 방문하여 그 사장님들의 고충을 알고 있는 현실감 있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보시길 권유합니다
위의 세가지 조건에 따라 기존의 식당을 완전 리뉴얼하여 성공사례들이 있습니다.
노고단 풍천새벽장어 박만철 사장님, 꽃피는 동막골 이OO사장님, 강나루창 OOO 사장님등 한분 한분 요식업계에서 최고의 맛과 서비스를 자랑하시지만 과감하게 기존의 방식과 틀에서 벗어나 가격경쟁력 확보, 브랜드마케팅 수행, 전문가조언에 따라 고객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함으로 제2의 창업에 성공하고 계십니다.
그분들의 사례를 토대로 당사는 귀하의 현재 여건에 따라 장어 식당사업을 일으키시는데 나름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성심으로 임하고자 합니다. 모두가 함께 장어관련 전체생태계를 함께 키워 나가 몫을 늘려 골고루 나누고자 하는 것이 저희들의 사업 목표입니다.
[출처] 풍천새벽장어 블로그 - www.sebyok.co.kr